들어가기 앞서, 북한 주민들을 탄압하고 착취하는 북한 정권을 혐오하며 미화할 의도가 없음을 밝힙니다.
김정일 시기 조선인민군 (북한군) 육군이 착용하는 군복에 대하여 알아보겠다.
1. 행사복 (예복)
- 착용계급: 상좌 ~ 장령 (고급군관, 한국식으로는 대령 ~ 장성급에 해당)
- 착용특징: 각종 기념식, 행사용
2. 간편복 (정복)
- 착용계급: 소좌 ~ 장령 (좌관급 이상, 한국식으로는 영관급 이상)
- 착용특징: 격식있는 행사, 평상복 (근무복)이나 전투복 착용이 불편한 경우.
3. 군관용 평상복 (장교용 근무복)
- 착용계급: 소위 ~ 장령 (한국식으로는 소위 ~ 장성급까지에 해당.)
- 착용특징: 전투복과 복장이 동일하나 군관용 정모나 평상모 (전투모)를 착용함
4. 하전사용 평상복 (사병용 근무복)
- 착용계급: 병사 ~ 특무상사 (하전사용, 한국식으로는 사병용)
- 착용특징: 전투복과 복장이 동일하나 평상모 (전투모)를 착용함
5. 군관용 전투복 (장교용 전투복)
- 착용계급: 소위 ~ 장령 (군관)
- 착용특징: 평상복 (근무복)에 군관요대 (탄띠)를 착용하면 전투복이며, 철모 혹은 평상모 (전투모)를 착용할 수 있음.
6. 하전사용 전투복 (사병용 전투복)
- 착용계급: 병사 ~ 특무상사 (하전사)
- 착용특징: 평상복에 요대 (탄띠)를 착용하면 전투복이며 철모 혹은 평상모 (전투모)를 착용할 수 있음
7. 군관용 외투 (장교용 코트)
- 착용계급: 소위 ~ 장령 (군관)
- 특징: 옷깃부분이 폐쇄형이며 기장은 무릎을 덮음. 계급장은 견장(어깨)을 사용함.
8. 하전사용 외투 (사병용 코트)
- 착용계급: 병사 ~ 특무상사 (하전사)
- 특징: 옷깃부분이 개방형이며 기장은 허벅지를 덮음. 계급장은 견장(어깨)을 사용함
9. 군관용 솜동복 (장교용 동계 전투복)
- 착용계급: 소위 ~ 장령 (군관)
- 특징: 솜동모 (방한모), 철모 착용. 외투 위에 군관요대 (탄띠) 착용 가능
10. 하전사용 솜동복 (사병용 동계 전투복)
- 착용계급: 병사 ~ 특무상사 (하전사)
- 특징: 솜동모 (방한모), 철모 착용, 외투 위에 요대(탄띠) 착용 가능
11. 점퍼
- 착용계급: 상좌 ~ 장령 (고급군관)
- 특징: 전투복, 평상복 위에 착용하며 평상모 (근무모)나 솜동모(방한모)를 착용함